환경을 측정 및 분석하고 오염물질을 시험하고 분석합니다.
폐기물관리법 시행령 제1장 제3조 지정폐기물의 종류 구분, 동법 시행규칙 제2조 별표1. 오니류 등에 함유된 금속 등 유기물질의 용출농도,
동법 시행규칙 제6조 별표4의 6. 다.(2) 지정폐기물의 처리기준 적합여부, 「잔류성유기오염물질관리법」시행규칙 제3조 별표2의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의 함량 기준,
동법 시행규칙 18조 별표8의 고체상태의 처리기준 적합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시험·분석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번호 | 구분 | 지정폐기물유해물질 | 분석방법 | 오니류,폐흡착제 및 폐흡수제 |
광재, 폐주물사, 폐사, 폐내화물, 폐도자기, 소각재, 안정화, 고형화처리물, 폐촉매 | 유기 용제 |
금속 함량 |
|---|---|---|---|---|---|---|---|
| 1 | 수분 및 고형물 | 일반항목 | 중량법 | ||||
| 2 | 강열감량 및 유기물함량 | 일반항목 | 중량법 | ||||
| 3 | 기름성분 | 지정폐기물유해물질 | 중량법 | O | O(분진과 소각재는 제외) | ||
| 4 | 시안 | 지정폐기물유해물질 |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 O | O | ||
| 5 | 크롬 | 지정폐기물유해물질 | ICP | O | |||
| 6 | 6가크롬 | 지정폐기물유해물질 | ICP | O | O | ||
| 7 | 구리 | 지정폐기물유해물질 | ICP | O | O | O | |
| 8 | 카드뮴 | 지정폐기물유해물질 | ICP | O | O | O | |
| 9 | 납 | 지정폐기물유해물질 | ICP | O | O | O | |
| 10 | 비소 | 지정폐기물유해물질 | ICP | O | O | O | |
| 11 | 수은 | 지정폐기물유해물질 | AA | O | O | O | |
| 12 | 유기인 | 지정폐기물유해물질 | GC | O | |||
| 13 | 트리클로로에틸렌 | 지정폐기물유해물질 | GC | O | |||
| 14 | 테트라클로로에틸렌 | 지정폐기물유해물질 | GC | O | |||
| 15 | 디클로로메탄 | 할로겐화 유기물질 (17종) | GC | O | |||
| 16 | 트리클로로메탄 | 할로겐화 유기물질 (17종) | GC | O | |||
| 17 | 테트라클로로메탄 | 할로겐화 유기물질 (17종) | GC | O | |||
| 18 |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 할로겐화 유기물질 (17종) | GC | O | |||
| 19 |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 할로겐화 유기물질 (17종) | GC | O | |||
| 20 | 디클로로에탄 | 할로겐화 유기물질 (17종) | GC | O | |||
| 21 | 트리클로로에탄 | 할로겐화 유기물질 (17종) | GC | O | |||
| 22 |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 | 할로겐화 유기물질 (17종) | GC | O | |||
| 23 | 트리클로로에틸렌 | 할로겐화 유기물질 (17종) | GC | O | |||
| 24 | 테트라클로로에틸렌 | 할로겐화 유기물질 (17종) | GC | O | |||
| 25 | 클로로벤젠 | 할로겐화 유기물질 (17종) | GC | O | |||
| 26 | 디클로로벤젠 | 할로겐화 유기물질 (17종) | GC | O | |||
| 27 | 클로로페놀 | 할로겐화 유기물질 (17종) | GC | O | |||
| 28 | 디클로로페놀 | 할로겐화 유기물질 (17종) | GC | O | |||
| 29 | 1,1-디클로로에틸렌 | 할로겐화 유기물질 (17종) | GC | O | |||
| 30 | 1,3-디클로로프로펜 | 할로겐화 유기물질 (17종) | GC | O | |||
| 31 | 1,1,2-트리클로로- 1,2,2-트리플루오로에탄 | 할로겐화 유기물질 (17종) | GC | 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