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분야

환경을 측정 및 분석하고 오염물질을 시험하고 분석합니다.

해양수질 및 퇴적물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제22조에 의거하여 해양환경관리법 제12조, 제13조에 따라 해양수산부의 정도관리가 인증된
해양환경 측정·분석능력 인증기관으로서 환경영양평가, 해역이용평가, 사후 환경영향조사 등 해양수질 및 퇴적물 시험·분석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관련법규
  • 01 해양환경관리법 제12조, 제13조
  • 02 해양환경관리법 시행령 제7조
  • 03 해양환경관리법 시행규칙 제7조, 제8조
해양 수질
분석 항목
(해양환경공정
시험기준)
번호 구분 시험기준
1 염분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2 수온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3 수소이온농도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4 투명도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5 부유입자물질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6 용존산소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7 황화수소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8 화학적산소요구량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9 용존유기탄소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10 아질산성 질소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11 질산성 질소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12 암모니아성 질소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13 총질소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14 용존 총질소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15 인산염인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16 총인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17 용존 총인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18 규산염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19 시안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20 불소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21 구리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22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23 니켈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번호 구분 시험기준
24 아연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25 카드뮴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26 코발트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27 6가크롬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28 총크롬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29 비소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30 수은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31 알킬수은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32 페놀류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33 유기인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34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35 유기주석화합물(TBT)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36 용매추출유분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37 유출유중 포화탄화수소류 식별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38 유출유중 방향족탄화수소류 식별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39 유출유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식별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40 유출유의 적외선 분광스펙트럼 식별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41 유출유중 황화합물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42 유출유중 니켈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43 유출유중 바나듐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44 유출유중 포화분, 방향족분, 레진분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45 HPLC를 이용한 광합성 색소 측정방법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해양퇴 적물
분석 항목
(해양환경공정
시험기준)
번호 구분 시험기준
1 입도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2 함수율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3 강열감량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4 총 황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5 산 휘발성 황화물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6 화학적산소요구량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7 유기탄소량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8 구리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9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10 니켈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11 망간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12 아연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13 알루미늄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14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15 카드뮴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16 코발트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17 크롬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번호 구분 시험기준
18 비소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19 수은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20 유기염소계 농약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21 다환방향족탄화수소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22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23 유기주석화합물(TBT)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24 공극수 수소이온농도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25 공극수 황화수소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26 공극수 아질산 질소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27 공극수 질산 질소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28 공극수 암모니아 질소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29 공극수 구리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30 공극수 납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31 공극수 니켈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32 공극수 아연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33 공극수 카드뮴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